본문 바로가기
나도알자 - 기타

"월세 싸죠?" 속았다! 직거래 플랫폼 노린 신종 월세 사기 예방법

by 나이크 (nadoalja.com) 2025. 4. 30.
반응형

"월세 싸죠?" 속았다! 직거래 플랫폼 노린 신종 월세 사기 예방법

 

최근 몇 년간 전세 사기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면서, 많은 임차인이 전세 대신 월세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. 실제로 국토교통부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1~2월 전국 전·월세 신규 거래 중 월세 비중이 61.4%로 상승했습니다​.

문제는 이러한 상황을 틈탄 사기범들이 월세 시장에도 새로운 함정을 만들고 있다는 점입니다. 특히 중고거래 앱·부동산 직거래 플랫폼의 이용이 늘면서 이를 노리는 지능적 부동산 사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​. 이처럼 월세 계약도 사기 피해 위험이 커짐에 따라, 아래에 정리한 예방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.

 

피해 사례

KBS 뉴스에 따르면, 인터넷 커뮤니티 등에서 압류된 빈집 정보를 알아낸 한 사기범이 부동산 직거래 앱에 실제 집주인인 것처럼 월세 매물을 올려 계약을 체결한 뒤 보증금과 월세를 챙겨 달아났습니다​. 이로 인해 인천·부산 등에서 120여 명이 피해를 입었으며, 피해자들은 상대적으로 적은 보증금 규모에 안심해 사기임을 예상하지 못했다고 전해집니다​.

 

신종 월세 사기 유형

  • 가짜 임대인 사기: 인터넷 카페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경매·압류 물건 정보를 수집한 뒤, 당근마켓·직방 등 직거래 플랫폼에 해당 집주인 행세로 매물을 올리는 수법입니다. 범죄자는 실제 집주인의 출입문 비밀번호를 요구해 내부를 살핀 뒤, 시세보다 낮은 월세로 계약을 유도하고 보증금·가계약금을 편취한 뒤 잠적합니다​.
  • 가계약금 편취: 직거래 앱 매물에 속은 예비 임차인에게 먼저 계약금을 요구하는 전형적인 사기입니다. 예비 임차인이 보증금의 10~20%에 해당하는 가계약금을 송금하면, 사기범은 본계약 전에 잠적하여 돈을 가져갑니다​.
  • 중개 편취: 부동산 중개인을 사칭하거나 중개인을 이용한 사기도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일부 중개사는 임대인에게는 적은 보증금을, 임차인에게는 많은 보증금을 알려줘 그 차액을 가로채는 보증금 차액 편취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​.

 

월세 사기 예방법

  • 등기부등본 확인: 계약 전에 등기부등본을 발급받아 집주인이 실제 소유주인지, 근저당·압류 등 권리관계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야 합니다​.
  • 임대인 신분증 원본 확인: 임대인에게서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증 등 신분증 원본을 받아 등기부상의 소유자 정보와 일치하는지 반드시 대조합니다​.
  • 공인중개사 거래: 가능하면 공인중개사를 통해 계약을 체결하세요. 공인중개사가 개입하면 부동산 사기 확률이 현저히 낮아집니다​.
  • 계약서·특약 꼼꼼 검토: 계약서 작성 전 전입신고 금지, 집 수리비 부담 등 불리한 특약이 없는지 꼼꼼히 확인합니다​. 의심스러운 특약이 있다면 계약서에 명시하도록 요청해야 합니다.
  • 계좌이체 및 증빙 보관: 보증금과 월세는 집주인 명의 계좌로 이체하고, 반드시 이체 내역과 계약서 사본 등 증빙을 남기세요​. 현금 거래는 되도록 피합니다.
  • 전입신고·확정일자 받기: 이사 후 즉시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 임대차보호법의 보호를 받으세요. 신고하지 않으면 보증금 반환에 불리할 수 있습니다.
  • 시세 비교: 주변 매물보다 지나치게 낮은 월세는 의심해야 합니다. 유사 매물이 있는지 다양한 경로로 확인하고, 의심스러운 매물은 피하는 것이 안전합니다​.
  • 가계약금 요구 시 주의: 계약 이전에 과도한 가계약금 요구는 경계해야 합니다. 일반적으로 월세 계약금은 보증금의 10~20% 수준임을 기억하세요​.
  • 출입문 비밀번호 공유 금지: 임대인이 아닌 상대에게 출입문 비밀번호나 열쇠를 알려주지 마세요. 빈집의 비밀번호를 알려주면 사기에 노출됩니다​.
  • 의심 시 계약 연기·전문가 상담: 조금이라도 이상한 점이 있으면 계약을 미루고 공인중개사 등 전문가에게 상담을 요청하세요​.

이처럼 월세 사기는 점점 다양화되고 있으므로, 위에서 소개한 기본 수칙을 반드시 기억하고 적용해야 피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월세사기, 부동산사기, 임대차, 전세사기, 임차인보호, 예방수칙, 등기부등본, 공인중개사, 가계약금, 확정일자

 

[AI 코인/주식 실시간 뉴스 분석 바로가기]

반응형